보석정보/보석이야기

[보석의 조건]

오뜨다이아몬드 2010. 1. 27. 12:21

[보석의 조건]

 

현재 알려진 광물의 수는 약 3,000여 종이나 되지만 이 모든 광물을 다 보석으로 사용하지는 않고 이 중 약 100여 종만이 보석으로 사용된다.

광물은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갖추었을 때 보석이라고 할 수 있다.

 

 

 

 

1. 아름다움

 보석에 아름다움이 없으면 그것은 보석으로 생각할 수 없다. 따라서 공업용 다이아몬드나 진주의 광택을 갖지 못한 조개껍질은 보석으로서 가치가 없다.

 색이 없는 투명석은 투명할수록 빛이 입사하여 다시 통과해 나올 때 무지개 색으로 분리되는 정도가 클수록 아름답다. 색깔을 띠는 투명석은 맑고 색이 짙을수록 아름답다. 불투명한 돌의 아름다움은 주로 색과 연마 방법에 의해 결정된다.

 

2. 내구성

  보석으로 착용하고 사용하기 위해서는 보석이 오랫동안 그 광택을 유지하고 마모에 견딜 수 있어서 보석의 아름다움이 오랫동안 유지되어야만 한다.

 보석의 현저한 특성의 하나는 화학적 및 구조적인 안정성이다. 변질되는 금속이나 분해되는 섬유와 달리 물질을 파괴하려는 조건 속에서도 수세기를 견딜 수 있는 것이 보석이다. 이런 의미로 보석은 상당한 내구성이 있다.

 내구성의 요소로는 마모에 견디는 힘인 경도, 깨어짐에 견디는 힘인 인성, 열이나 온도나 화학변화에 견딜 수 있는 힘이 안정성이 있다.

 

3. 희소성

  아무리 아름다운 광물이라 할지라도 그 양이 너무 많아서 누구나 쉽게 소유할 수 있는 것이라면 보석으로서의 가치가 없다. 보석은 희소할 때 돋보이게 된다.

 수요는 많으나 물품이 적을수록 가치가 올라가는 것은 당연하기 때문에 희소성이 보석의 가치결정에 커다란 역할을 하는 수가 많다.